목록Framework/Spring (7)
롸?
1. Main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licationContext context = new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init2.xml"); LogicImpl impl = context.getBean("logicImpl", LogicImpl.class); impl.selectDataProcess(); //AOP 적용 로직 System.out.println(); impl.updateDataPart(); //AOP 미적용 로직 } } 2. init2.xml 3. aspect @Component @Aspect public class Aspect1 { @Around("execution(pub..
1. mvc 구조의 흐름 2. 스프링 MVC의 주요 구성요소 흐름 DispatcherServlet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전체 흐름을 제어 HandlerMapping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할 컨트롤러 결정 Controll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 ModelAndView : 결과정보 및 뷰의 정보 ViewResolver : 컨트롤러의 처리결과를 생성할 뷰를 결정 View : 컨트롤러의 처리결과 화면 생성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DispatcherServlet에 전달된다. DispatcherServlet은 HandlerMapping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전달될 Controller 객체를 구한다. DispatcherServlet은 Controller 객체의 handleRequest() ..
1. 공통 SenderInter.java package pack; public interface SenderInter { void doSomething(); } Sender.java package pack;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ublic class Sender implements SenderInter{ public void doSomething() { System.out.println("doSomething을 수행"); } } main.java package pack;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
1. 사전 준비 (Maven 프로젝트) - pom.xml 4.0.0 spr_app_di spr_app_di 0.0.1-SNAPSHOT 1.8 UTF-8 UTF-8 5.0.0.RELEASE org.springframework spring-context ${spring-framework.version} 2. 생성자 주입 2-1. model.DataDaoInter.java package model; public interface DataDaoInter { void selectDb(); } 2-1. model.DataDaoImpl.java package model; public class DataDaoImpl implements DataDaoInter{ public void selectDb() { System...
1.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Aspect Oriented Programming을 우리말로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정도로 많이 번역하고 있으나, 여기서 Aspect는 구분되는 기능이나 요소를 의미하기 때문에 '관점'보다는 '기능' 혹은 '관심'이라는 표현이 더 알맞다. AOP는 여러 객체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을 분리해서 재사용성을 높여주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핵심 기능과 공통 기능의 구현을 분리함으로써 핵심 기능을 구현한 코드의 수정 없이 공통 기능을 적용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업무 로직을 포함하는 기능을 핵심 기능 핵심 기능을 도와주는 부가적인 기능(로깅, 보안)을 부가기능, 공통기능 2. 주요 용어 타겟(Target) 핵심 기능을 담고 있는 모듈로 타..
1. 의존이란? 스프링에서의 의존 주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존'의 의미부터 알아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의존은 객체 간의 의존을 말한다. 다음 가정을 살펴보자. 회원 가입을 처리하는 기능을 구현한 Service 클래스가 있고, 이 클래스에서는 이메일의 중복체크를 위해서 이메일을 통해 회원 정보를 조회하는 MemberDao 클래스의 selectByEmail() 메소드를 이용한다. 이메일을 가진 회원 데이터가 있다면 회원 정보를 담은 Member 객체를 생성하고 MemberDao 객체의 insert() 메소드를 이용해 DB에 데이터를 삽입한다. 위 케이스에서 눈여겨볼 점은 Service 클래스가 DB처리를 위해서 Dao클래스의 메소드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메소드를 실행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