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보기 (86)
롸?
1. Base 원본 저장소에서부터 로컬로 가져온 커밋들을 base 라고 한다. 이 때, 원본 저장소와 나의 원격 저장소, 로컬 모두 base가 같은 상황 git 은 억지로 넣어서 base를 교체하지 않는 한, base가 같은 저장서에만 push를 할 수 있다. 사실 base 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rebase가 헷갈렸던 건데 이것만 잘 알면 다음 부분은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쉬울 듯하다 밑에 원글에서 가장 잘 설명해주고 있다 2. conflict 없는 rebase 로컬에서 작업을 하고, push를 하고, pull request를 한 상황이라고 가정. 원본 저장소에 변화가 없다면 merge 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다른 사람의 작업물이 먼저 원본 저장소에 merge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merge가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ES6부터 지원되는 Promise 객체를 통해 비동기 처리식을 사용할 수 있다. 1. 콜백함수(왜 프로미스를 쓰는가?) 콜백함수(Callback Function)란 파라미터로 함수를 전달받아, 함수의 내부에서 실행하는 함수이다. 콜백함수는 함수의 내부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익명의 함수를 사용한다. ex) forEach 안에 익명의 함수를 넣어서 forEach 문을 동작시킨다. let number = [1, 2, 3]; number.forEach(x => { console.log(x * 2); }); // //2 //4 //6 비동기 호출이 자주 일어나는 프로그램의 경우 ‘콜백 지옥’이 발생한다. 함수의 매개변수로 넘겨지는 콜백 함수가 반복되어 코드의 들여쓰기 수준이 감당하기 힘들어질 정도로 깊어지는 현상이..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라라벨 스케줄러를 이용해서 스케줄링이 필요한 작업을 코드로 작성하고 크론잡을 등록해서 예약된 시간에 작업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사전에 크론이 설치되고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 1. artisan 명령어를 통해 라라벨 커맨드를 생성 php artisan make:command 클래스명 해당 명령어 실행 시 /app/Console/Commands/클래스명.php 클래스파일이 생성된다.
Dockerfile을 작성하다 보면, RUN, CMD, ENTRYPOINT 차이를 알아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세 가지 명령어의 차이를 알아보자. 1. RUN 보통 이미지에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 등에 사용됨. RUN 명령어는 실행할 때마다 레이어가 생성된다. 따라서 RUN 명령어를 하나에 통합해준다면 보다 깔끔하게 레이어를 관리할 수 있다. # 통합 전 FROM ubuntu:18.04 RUN apt-get update RUN apt-get install -y python3 python3-pip wget git less neovim RUN pip3 install pandas # 통합 후 FROM ubuntu:18.04 RUN apt-get update \ && apt-get install -y pyth..